•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 세트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 세트

김수환 추기경의 진솔한 속내를 들여다본다 (세트)

20,000원
18,000 (10%할인)
20,000 20,000
상품코드
121111,121121
배송비
2,500원 주문시결제
구매혜택

할인 : []

적립 마일리지 : []

배너

상세정보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 개정판 출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엮은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의 개정판이 두 권으로 나왔다. 김수환 추기경이 직접 회고하며 쓴 어머니와 형님 이야기, 사제가 되기까지의 갈등, 발표되지 않은 기도와 시들, 먼저 하느님 품으로 돌아간 사람들에 대한 회고, 인터뷰, 강론 등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에 관한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물질적 성장만 추구하는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위정자들의 비민주적 폭거에 든든한 우산이 되어주고, 시대의 징표를 읽어 동시대인에게 삶의 방향을 제시해주어, 여론 조사에서 늘 우리 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로 꼽혔던 김수환 추기경의 모습을 되새겨 볼 수 있다. 특히 이 개정판에는 새로이 추가된 인터뷰와 그 후의 강론, 기고 글 등을 더해져 그동안 잘 몰랐던 김수환 추기경의 개인적인 면모를 더 깊이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김수환 추기경의 진솔한 속내를 들여다본다 

‘김수환 추기경의 신앙과 사랑’ 제1권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는 가족 이야기, 편지와 수필, 시대의 아픔이 담긴 인물들의 회고, 인터뷰 등이 담겼고, 제2권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믿음과 사랑, 그리고 시대에 대한 고민을 엿볼 수 있는 강론과 단상들이 담겨 있다.
제1권에는 자신을 사제로 만드신 어머니에 대한 절절한 사랑과 형님에 대한 그리움이 당신이 직접 쓴 수필에 녹아 있으며, 아끼는 젊은 후배의 투병을 지켜보며 느끼는 인간적인 괴로움과 안타까움 등이 행간에 배어나오는 장례미사 강론 등을 통해 존경하지만 어렵게만 느껴지는 김수환 추기경을 보다 친숙하게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서 끈질긴 기자의 물음에 사제가 되기 전 고민했던 여인의 이야기를 털어놓는 등 독자들의 흥미를 자아내는 이야기도 다수 실려 있다.
제2권에는 김수환 추기경의 다양한 주제의 강론들이 실려 있다. 시대의 부침 속에서 교회와 그리스도인이 나아갈 길에 대한 김수환 추기경의 고뇌의 흔적들과 그가 제시하는 우리 교회와 사회의 비전을 볼 수 있다.  

육필 원고에서 느껴지는 김수환 추기경의 진솔한 삶의 향기

이 책의 매력은 무엇보다 김수환 추기경이 직접 쓴 육필 원고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그분의 속생각이 가감 없이 드러나고 있으며, 그분이 고뇌해야 했던 나날들을 읽을 수 있다. 여러 외압과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자세에 대해 끝없이 고민하며 자신을 닦는 김수환 추기경의 모습은 현실에 나태하게 안주하는 우리들에게 깊은 깨달음을 준다. 특히 여러 생각으로 잠 못 이루는 밤에 쓰신 메모들은 불합리한 사회 구조 속의 약자들에 대한 연민과 분노를 하느님께 전적으로 의탁하며 기도하는 김수환 추기경의 깊은 신심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소외된 이들을 배척하는 정권에 일갈하는 꼿꼿한 모습 속에 숨겨진 진솔한 삶의 모습은 가톨릭 신자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따르고 싶은 삶의 한 전형으로 다가올 것이다.


추천사 중에서

47세의 나이에 최연소 추기경이 되신 김수환 추기경님은, 억압받고 가난한 민중들에게 깊은 관심을 보이셨고, 파행적인 정치 현실과 불확실한 노동 문제 등에 대해 강경한 발언을 서슴지 않으셨습니다. 격동의 근·현대를 지내 오는 동안, 김 추기경님은 시대의 짐을 짊어지시고 한국 사회의 큰 횃불이자 최후의 양심의 보루가 되셨습니다. 김 추기경님은 모든 사회 구조나 정치 형태가 공동선을 향해 나아가야 하며, 동시에 평등한 권익을 보장하고, 특권 의식과 배금주의를 버리며, 스스로 혁신과 정화의 근본이 되는 내면의 양심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셨습니다. 또 교회는 공동선을 추구하는 실천 과정에서 불의와의 타협을 거부해야 한다고 역설하셨고, 1970년대의 유신 체제 이래 정치적으로 탄압받던 인사들의 인권을 위해, 그리고 구국과 정의 회복을 위해 1980년대의 민주화 운동을 위해 노력하셨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으로, 중용의 침묵으로 시대의 지팡이 역할을 해 오셨기에, 한국 천주교회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안에서도 가장 높은 존경을 받는 큰 어른이신 김수환 추기경님의 삶과 정신적 궤적을 묶은 글들을 가려 두 권으로 묶어 내놓게 되었습니다. 이 두 권의 책이 김 추기경님의 모든 것을 다 말해 준다고는 할 수 없으나, 그분의 내밀한 고백과 영적 일기 등을 통해 그분과 더 깊은 친교를 이룰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총대리 염수정 안드레아 주교
본문 중에서

학병에 나갔을 때 막상 죽을 위험에 임박한 지경에 이르러서는 나는 정반대로 어머니가 보고 싶고, 어머니 품에서 죽고 싶은 강렬한 소망에 사로잡혀 버렸다.
내가 이 경험을 한 것은 태평양 한가운데 배 위에서였다. 그때 우리가 탄 배는 근처에 나타난 미군 잠수함에 의해 어느 순간에 어뢰 공격을 받을지 모를 그런 급박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우리 배는 2,000톤 급의 작은 화물선이었고, 거기에다가 기름, 폭약 같은 것만 잔뜩 싣고 있어서 한 방 맞으면 그 즉시 배도 사람도 한꺼번에 폭발해 버릴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그때 갑판 위에서 어느 순간에 닥칠지 모르는 죽음을 기다리면서 나는 수평선 위에 어머니의 모습을 그렸다. 그 즉시 어머니가 보고 싶고, 그 품에 안겨 죽고 싶은 마음이 물밀 듯 몰려왔다. 나는 그때 평소에 내가 의식적으로 생각하던 것과 정반대되는 이와 같은 내 본심을 보고 참으로 놀랐다. 어머니 곁을 떠나 죽고 싶다는 것은 순전히 내가 만들어 낸 생각이고 나의 본심은 어머니 곁으로 돌아가고 싶은 것이었구나 하는 깨달음을 그때 얻었다.
-제1권 ‘어머니, 우리 어머니’ 중에서


경화 정치(硬化政治), 재력 정치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절대로 무한정 계속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진리·정의·자유는 모든 인간의 근원적 염원이요, 그것은 하느님의 모습으로 태어난 인간 본성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모든 억압에서 완전히 해방되기를 본성적으로 희구하고, 영원하고도 무한한 생명을, 행복을 갈구한다.
그 때문에 지금은 속수무책으로 가만히 있는 것 같고, 또 때로는 체념에 빠지는 사람도 많지만, 언젠가는 어둠을 뚫고 나가려고 몸부림치게 될 것이다.
-제2권 ‘이대로 계속될 수는 없다’ 중에서


나는 지금 왠지 모르게 불안하고 답답하다. 신학교 문제가 가장 큰 근심거리이다. 허나 지금의 불안은 그것 때문만이 아니고, 나의 영혼 상태가 어둡기 때문일 것이다.
하느님 말고 다른 위로가 어디 있으며, 하느님 말고 다른 평화가 어디 있겠는가. 그분은 참으로 나의 기쁨이시고 힘이시고 빛이시다. 하느님이 내 안에, 내 곁에 계시고 나와 함께 계심을, 내 존재의 중심에 계심을 굳게 믿어야 한다.
-제2권 ‘나는 지금 왠지 모르게’ 중에서 

 

 


 

지은이: 김수환 추기경

 

1922년 대구에서 태어남 동경 상지대학 문학부 철학과 수료. 가톨릭대학 신학부 졸업. 51년 사제 서품. 56년 독일 뮌스터대학 대학원에서 사회학 전공. 64년 귀국하여 가톨릭시보사 사장으로 재직 중 66년 주교 서품과 동시에 마산교구장으로 임명. 68년 서울대교구장 취임과 함께 대주교로 서임. 69년 한국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 98년 은퇴 Tape - <오, 구원의 성체여!> 감준 2009년 2월 16일 선종 저서 <참으로 사람답게 살기 위하여>,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것 >, <십자가의 길(김수환추기경)>, <김수환 추기경 전집 SET (1~9)> 등이 있다.

 


 

|제1권| 간행의 말씀 큰 어른 김수환 추기경님 5 제1장 어머니, 나, 그리고 형 어머니, 우리 어머니 13 | 지금도 주님께 무릎 꿇어 용서를 빈다 30 | 왜 신부가 되었는가? 40 | 나의 좌우명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46 | 나의 형님, 김동한 신부 48 제2장 기도, 시 자기 이름을 상실한 사람들 59 | 나의 기도 62 | 하느님의 자비 65 | 당신의 생명을 모두 함께 누리게 하소서 67 |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하여 69 | 부부의 날 기도 71 | 기도는 나의 생명이다 73 | 인간성의 회복을 위하여 75 | 루르드 동굴 아래서 92 | 하느님의 사랑 94 | 수도자, 그대는 96 | 침묵은 밤이다 101 | 주여, 평화를 주소서 103 | 주님의 평화 105 | 5월이 다 가기 전, 성모님께 찬미를 107 제3장 오직 당신 것이오니 도로 받으시옵소서 하느님의 사람아, 노래를 들려 다오! 113 | 겨레를 가족보다 더 사랑하신 장준하 선생 118 | 한국 가톨릭 사상의 선구자 윤형중 신부님 121 | 이 겨레, 이 땅을 사랑한 이방인 127 | 무슨 말로 그들의 넋을 위로할지 모릅니다 131 | 운석 선생님의 영복을 빌면서 138 | 박종철 군의 죽음을 민주 제단에 바친다 142 민주의 새벽을 연 성직자 154 | 북만주에서 57년 만에 돌아오신 김선영 신부님 159 | 어디 가면 너를 볼 수 있니 164 | 밀알이 썩어 167 | 주님의 은혜에 보답한 생애 174 제4장 인터뷰 인간과 사랑 183 | 인간은 인간답게 살아야 192 | 힘으로 눌러서는 안 된다 235 | 정권에 고언(苦言) 땐 밤새 고뇌 248 | 무소유의 정신 257 | 교구장직을 떠나면서 265 | 서울 대교구장 30년 회고 269 | 새 천 년의 의미 276 약력 286 |제2권| 간행의 말씀 큰 어른 김수환 추기경님 5 제1장 하느님과의 만남 누가 누구를 기다리는가? 13 | 어리석어 보이는 것을 진리로 믿는 사람들 27 |하느님과의 만남 33 | ‘나’ 빼기 그리스도 45 | 죽음으로써 산다 48 |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50 | 빛 속에 살기를 원한다면 56 | 순교로써 참생명을 얻은 선열들 62 | 성모님의 믿음을 본받아 65 제2장 사랑은 기적보다 강하다 아버지 하느님의 사랑 69 | 가장 인간다운 인간, 예수님 76 | 불속으로 뛰어 들어와 85 | 나는 죄인을 위해서 왔다 90 | 하느님의 사랑을 부어 주시는 성령 93 우리는 주님을 사랑합니까? 97 | 사랑은 기적보다 강하다 102 | 사랑이 없으면 삶은 빈 껍질 105 | 내적 성숙은 사랑을 통하여 109 | 소외된 이와 함께하는 삶 113 | 사랑해야 하는 이유 116 | 사랑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 122 | 사랑받기보다 사랑하게 하소서 126 | 성가정 130 | 사랑의 출발점인 가정 134 북한의 형제들을 위해 기도하십시오 138 제3장 부르심 받은 이들에게 나를 비움 145 | 주님의 나귀 159 | 당신은 누구입니까? 163 |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여인을 만나신 뜻 170 | 주교와 청빈 189 | 예수님의 가난과 겸손 199 복음적 삶의 봉헌 201 제4장 너 어디 있느냐? 악마의 유혹 209 | 그리스도를 잃어버린 그리스도인 219 | ‘비움’은 자유의 ‘조건’ 227 | 가난한 이들에게 복음을 231 | 결혼을 후회한 적 없습니까? 247 | 너 어디 있느냐? 251 | 새로운 삶의 지평선 268 제5장 인정을 그리워하며 삶의 가치와 의미의 뿌리 273 | 고독과 소외 277 | 인정을 그리워하며 283 | 이대로 계속될 수는 없다 285 | 그만큼 우리는 아무것도 아니다 286 | 로마 여행을 마치고 289 | 하느님은 우리에게 시간을 주셨다 290 | 나는 지금 왠지 모르게 291 큰 밤이 될 것이고 292 | 빛이 되는 사람들 293 | 죽음 준비 296 | 눈물의 은사 301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저자 소개


지은이: 김수환 추기경

 

1922년 대구에서 태어남 동경 상지대학 문학부 철학과 수료. 가톨릭대학 신학부 졸업. 51년 사제 서품. 56년 독일 뮌스터대학 대학원에서 사회학 전공. 64년 귀국하여 가톨릭시보사 사장으로 재직 중 66년 주교 서품과 동시에 마산교구장으로 임명. 68년 서울대교구장 취임과 함께 대주교로 서임. 69년 한국 최초로 추기경에 서임. 98년 은퇴 Tape - <오, 구원의 성체여!> 감준 2009년 2월 16일 선종 저서 <참으로 사람답게 살기 위하여>,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 <우리가 서로 사랑한다는 것 >, <십자가의 길(김수환추기경)>, <김수환 추기경 전집 SET (1~9)>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