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치의 성사

일치의 성사

성체성사와 교회

11,000 (0%할인)
11,000 11,000
상품코드
282051
배송비
2,500원 주문시결제
구매혜택

할인 : []

적립 마일리지 : []

배너

상세정보

2004년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맞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체성사의 해’를 선포한다. 독일의 발터 카스퍼 추기경이 때맞춰 출간한 이 책은, 성체성사와 교회의 내적 연관성을 개인과 교회 전체의 삶을 통해 더 깊이 깨닫도록 도와준다. 성체성사는 일치의 성사이며 그리스도교 생활의 원천이자 정점이다. 따라서 성체성사는 교회일치의 근거와 기반을 제공한다. 카스퍼 추기경은 교구장으로서 겪은 사목 현장의 생생한 실상과 교의신학자로서 연마한 탄탄한 이론적 지식을 사유의 두 축으로 삼아, 성체성사의 본질과 의미를 해명하고 성체성사와 교회일치 간의 신학적 연관성을 밝힌다.



성체성사는 일치의 성사다!


2004년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을 맞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체성사의 해’를 선포한다. ‘성체성사의 해’는 2004년 10월 멕시코 세계성체대회의 개막과 함께 시작되어, 2005년 10월 성체성사를 주제로 한 세계 주교 시노드로 막을 내렸다. 독일의 발터 카스퍼 추기경이 때맞춰 출간한 이 책은, 성체성사와 교회의 내적 연관성을 개인과 교회 전체의 삶을 통해 더 깊이 깨닫도록 도와준다. 성체성사는 일치의 성사이며 그리스도교 생활의 원천이자 정점이다. 따라서 성체성사는 교회일치의 근거와 기반을 제공한다. 카스퍼 추기경은 교구장으로서 겪은 사목 현장의 생생한 실상과 교의신학자로서 연마한 탄탄한 이론적 지식을 사유의 두 축으로 삼아, 성체성사의 본질과 의미를 해명하고 성체성사와 교회일치 간의 사목적·신학적 연관성을 규명한다.


첫 장章에서는 공동체의 전례 생활에 성체성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힌다. 특히 저자가 로텐부르크-슈투트가르트 교구장으로 활동하면서 생생하게 체험한 것들을 바탕으로, 오늘날 (서구) 교회가 당면한 몇 가지 중요한 문제를 다룬다. 둘째와 셋째 장에서는 성체성사의 본질적 측면에 대한 성경적 근거에 주목한다. 넷째 장은 2004년 울름에서 열린 ‘가톨릭 신자 대회’ 때 행한 강연을 기초로, 성체성사의 교회일치적 측면을 더 넓은 지평에서 밝히는 데 할애된다. 마침내 다섯째와 여섯째 장에서는 신학적으로 심화된 성찰을 이끌어 낸다. 다섯째 장은 성체성사의 풍부하고 다양한 관점들을 성찰하는 데 토대가 되는 논문이며, 여섯째 장에는 2004년 10월 세계성체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



이 책은 우리가 궁금해하는 많은 문제에 대답한다. 왜 우리가 주일 미사에 빠지지 말아야 하는지? 왜 (장례미사를 포함한) 모든 미사가 엄숙하면서도 기쁨으로 채워져야 하는지? 왜 본당 안에서 같은 시각에 미사 외에 다른 활동이 중지되어야 바람직한지? 왜 본당만이 아니라 교회일치운동이나 선교 활동 등 교회의 모든 주요 행사가 미사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왜 미사를 집전하는 사제가 그렇게 소중한지? 오늘날 여전히 기적을 바라는 우리에게 ‘미사’보다 더 큰 기적이 없다고 말할 수 있는지?



이 모든 물음은 ‘도대체 성체성사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으로 집약될 수 있다. 주님의 최후 만찬으로부터 비롯된 이 성체성사는 분명 제사이며 잔치다. 최후 만찬 직후 수난과 죽음이 이어졌던 것처럼 성체성사는 주님께서 손수 바치신 ‘봉헌’을 기억하는 제사인 동시에 그로써 얻으신 부활을 기념하는 감사의 축제다. 그리스도의 이 자기희생은 하느님 아버지를 향한 것이었다.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는 데 삶을 바치신 만큼 십자가상의 죽음은 그에 따른 결과였다. 주님의 부활은 그 같은 봉헌에 대한 하느님 아버지의 응답이요, 우리에게는 완성된 구원의 증표다. 그래서 이 모든 것에 대한 ‘아남네시스’(기억/기념)는 우리의 신앙을 진작시키기에 넉넉하다. 더욱이 주님의 희생은 우리에게 하느님 나라를 위해 준비시키시는 성령과의 만남을 성사시켜 주었다. 그래서 미사는 또한 ‘파라클레시스’(성령 청원 기도)요 ‘마라나 타!’(주님, 어서 오십시오!)를 외치는 종말론적 잔치다. 그렇게 우리는 미사를 통해 일상을 살아가면서 더 이상 일상에 안주하지 않고 완성된 종말을 희망하는 힘을 얻어야 한다. 빵과 포도주를 나누는 미사 안에는 교회가 유지되고 성장하는 원천적인 힘이 있다. 우리가 서로 나누는 ‘하나의 빵과 같은 잔’은 언제든지 개별 신앙인의 정체성(인격적 일치)만이 아니라 신앙 공동체의 일치, 나아가 교파 및 종파 간의 일치의 근간이 된다. 거기서 우리가 나누는 ‘평화의 인사’, 그 본래적 의미가 확인된다. 더 이상 교회 안팎으로 대립을 조장하거나 분열에 가담해서는 안 된다.


그 어떤 것과도 비교될 수 없을 만큼 중대한 구원과 일치의 성사로서 ‘미사’를 교회의 사제에게 위임했다는 점 또한 깊이 새겨야 할 일이다. 아직까지 주님을 확인하지 못했다면, 미사 중에 빨리 그분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엠마오로 가는 길에서 마침내 주님을 알아볼 수 있었던 한 가지 뚜렷한 증표가 바로 ‘빵을 나누시는 행위’였다면, 먼저 사제가 미사를 통해 보여 주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그로부터 신앙인 각자가 되새기고 몸소 행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분명하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이 책을 통해 미사의 풍요로운 은총을 깨달을 수 있었으면 한다.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저자 소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