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종교 사상사 -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종교 사상사 -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가톨릭 문화총서 39 - 역사신학 12

22,000원
19,800 (10%할인)
22,000 22,000
상품코드
123181
배송비
2,500원 주문시결제
구매혜택

할인 : []

적립 마일리지 : []

배너

상세정보

한국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동질적인 문화와 심성을 찾다

 

무교(巫敎, shamanism)는 그리스도교가 이 땅에 들어오기 오래 전부터 한국인의 문화와 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존속한 종교이다. 한국 종교사상사는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핵심인 신관(神觀), 즉 ‘하느님의 신앙’에 초점을 맞춰 그 내용을 전개한다.

 

1부에서는 우리나라 신화와 고대 제천의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종교사상의 원형을 밝히고, 2부에서는 하느님 사상이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의 불교와 도교, 유교와 만나는 과정에서 어떻게 계승 변천되어 왔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3부에서는 조선 말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이루어진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만남을 서술한다.

 

무교와 그리스도교, 이 두 종교사상은 표면적으로 상호배타적이지만, 서로 깊은 동질적 요소들을 지닌다. 한국의 무교는 이 땅에 그리스도교가 받아들여지는데 아주 중요한 토대 역할을 했고, 지금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직까지 한국의 종교사상사를 그리스도교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목시켜 제시한 연구서나 학술 서적은 찾아볼 수 없다. 또한 무교와 그리스도교를 연계시켜 한국의 종교사상사 전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도 아직까지 없다. 다소 뒤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이 책은 그런 면에서 하나의 계기를 마련해 주리라 믿는다.
                                                                               -머리말에서 발췌

 

 

 

 

한국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신앙

 

무교를 바라보는 태도에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여기에서는 우선 조선 후기 무교와 천주교의 만남을 고찰한다. 천주교가 자발적으로 수용되어 짧은 기간에 토착화된 이유를, (그 직접적이고 현상적인 측면에서는) 유교와 접목 사실에서 찾을 수 있지만, 보다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차원에서는 무교와의 상호 만남에서 살펴야 한다. 한국 무교 안에 천주교를 수용하도록 하는 매개 기반은 과연 무엇이고, 조선 후기 천주교 신앙의 수용이 전통적인 무교 신앙과 어떤 연속성을 지니고, 또 불연속성을 지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무교의 기본구조와 당시 조선 후기에 무교와 천주교가 접촉하던 시기의 종교적 상황을 점검한다. 그리고 이어서 한국 무교의 신앙체계와 천주교 신앙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신관?세계관?인간관?구원관이 어떻게 접목되는지를 살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교와 천주교의 핵심 종교의례인 굿과 미사의 구성요소들을 대비하면서 상호 접합 요소들을 분석한다.
그 리스도교가 다른 종교를 대하는 태도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이레네우스처럼 다른 종교에서 좋고 가치 있는 점을 모두 그리스도 신앙에 의한 완성을 기다리는 예비 요소로, 연속적 단계로 보는 긍정적 견해가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마르키온처럼 다른 종교를 그리스도 신앙에 가장 큰 장애로, 악의 세력으로 보아 어떠한 적응의 시도도 허용하지 않으려는 부정적 태도도 있다. 다시 말하면 그리스도교를 타종교의 연속이자 완성으로 보려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그와는 정반대로 같은 그리스도교를 연속이 아닌 투쟁으로, 악마와의 대결로 보려는 입장도 있었다.
                  - 머리말에서

 

 


 

지은이 이대근(李大根, 론지노) 신부는 충북 충주에서 출생하여, 1993년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대전 변동, 천안 봉명동, 당진에서 보좌신부로 봉직했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한 후에, “조선후기 근기남인(近畿南人)의 서학(西學) 수용에 관한 연구 - 천주관(天主觀)을 중심으로”(2003)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대전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양철학, 불교, 한국종교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상담심리 전공으로 교육학석사 학위를 받았고(2004년), 현재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상담?영성지도를 담당하고 있으며, 상담가(심리치료자)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또 시인으로서 1998년 평화신문 신춘문예로 문단에 등단한 이후, 시집

 


 

책머리에 11

(부록) 3편의 신화
1. 단군신화 15
2. 주몽신화 17
3. 혁거세신화 20


제1부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제1부 - 도입 25

제1장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 신화
머리말 29
1. 고대신화 속의 원형구조 31
1. 단군신화와 제(諸) 신화의 기본구조 31
2. 단군신화에 형성된 신앙체계 35
1) 환인의 파견 37
2) 환웅의 강림 44
3) 웅(熊, ?)의 승화 52
⑴ 웅의 성격 52
⑵ 통과의례의 의미 55
4) 신인융합과 단군 57
⑴ 단군왕검 58
⑵ 삼(三)의 원리 61
2. 고대신화 속의 원형요소와 그리스도교 신앙 67
1. 천신강림신앙 67
2. 삼신일체의 신격 72
3. 통과의례와 중생 79
4. 광명신앙과 천민의식 86
마무리말 95

제2장 우리 민족 고유 종교사상의 원형 : 제의
머리말 99
1. 고대 제천의식 속에 숨겨진 의미 : 신화 101
2. 고대 제천의식 속의 원형구조 105
1. 고대 제천의례의 구조 분석 105
1) 제사 107
2) 음주가무의 축제 109
3) 새 질서 선포의식 112
2. 소도신앙 113
1) 천군 114
2) 소도 116
마무리말 121


제2부 민족 고유 하느님(天)신앙의 계승과 전개

제2부 - 도입 125

제1장 삼국시대의 제천의식과 하느님신앙
머리말 131
1. 삼국시대의 제천의식 133
1. 삼국의 제천의례와 신라의 신궁제사 133
2. 산신제 139
2. 신라의 하느님신앙 145
1. 화랑도의 종교적 성격 147
2. 신라인의 의식구조 속에 나타난 하느님신앙 156
마무리말 165

제2장 고려시대의 종교의례와 하느님신앙
머리말 171
1. 종교의식 속에 나타난 하느님신앙 177
1. 유교적 제천의례, 원구 177
2. 도교적 제천의례, 초례 180
3. 불교적 종교의례, 팔관회 186
4. 무교적 제천의례, 기은제 194
5. 산천제 200
2. 전통신앙의 보존과 하느님신앙 203
1. 구월산 삼성사 207
2. 무교의 삼신신앙 208
3. 사찰의 삼성각 211
1) 칠성 212
2) 산신 213
3) 독성 214
마무리말 217

제3장 조선시대의 종교의식과 하느님신앙
머리말 221
1. 종교의식 속에 나타난 하느님신앙 227
1. 제천의식 227
1) 유교의 제천의식, 원구제 227
2) 도교ㆍ무교 및 재래의 제천의식 231
⑴ 도교의 초제, 231
⑵ 무교의 기은제 233
⑶ 재래의 산천신앙, 산신제 234
2. 부락제 238
1) 부락제의 기원과 분화 238
2) 부락제의 내용 242
⑴ 유교식 부락제, 동제 244
⑵ 무교식 부락제, 별신굿 245
3) 부락제의 종교적 의미 247
2. 의식구조 속에 나타난 하느님신앙 249
1. 조선왕조 지도층들의 하느님신앙 251
2. 성리학자들의 이중적 의식구조와 하느님신앙 255
3. 일반 민중들의 하느님신앙 260
마무리말 265


제3부 민족 고유 종교사상(무교)과 그리스도교

제3부 - 도입 269

제1장 한국 무교가 천주교 수용에 미친 영향
머리말 279
1. 한국 무교와 천주교의 만남 283
1. 한국 무교의 기본구조 283
1) 무당 283
2) 굿 288
2. 한국 천주교와 무교의 접촉 294
1) 양반 지식층과 교회 지도자들의 무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 295
2) 일반 신도들의 무교 인식과 태도 298
2. 한국 무교의 신앙체계와 천주교의 신앙체계 303
1. 무교와 그리스도교의 신관 303
1) 무교의 신관 303
2) 무교 신관과 그리스도교 신관의 만남 309
⑴ 하느님 309
⑵ 그리스도 312
⑶ 성령 318
2. 무교와 천주교의 세계관 321
3. 무교와 천주교의 인간관 325
4. 무교와 천주교의 구원관 329
3. 무교와 천주교 종교의례 335
1. 조선 후기의 종교적 상황과 종교의례의 접촉 336
2. 굿과 미사의 공통구조 342
1) 굿의 기본구조 343
2) 미사의 기본구조 345
3) 굿과 미사의 구조적인 공통점 347
3. 굿과 미사의 상호 접합점 349
1) 금기와 정화의식 349
⑴ 제의 전의 금기와 제물 준비 349
⑵ 제의 중의 정화의식 351
2) 굿의 구연과 말씀 전례 353
⑴ 가무와 찬양 353
⑵ 무가와 독서, 공수와 강론 354
⑶ 기원과 기도 356
3) 음복과 성찬 357
4. 굿과 미사의 차별성 361
5. 기타 종교의례 속의 무교적 요소들 363
마무리말 367

제2장 한국 무교가 개신교 수용에 미친 영향
머리말 371
1. 한국 무교와 개신교의 만남 373
1. 초기 선교사들의 종교적 성향과 무교에 대한 태도 373
1) 초기 선교사들의 종교적 성향 373
2) 초기 선교사들의 무교에 대한 태도 377
2. 초기 한국인 지도자들의 종교적 성향 383
3. 한국 개신교의 급성장과 무교와의 습합 392
2. 의식구조적 측면 403
1. 신관 404
1) 하느님 404
2) 그리스도 410
3) 성령 412
2. 의타신앙 415
3. 기복신앙 421
4. 신비주의(성령체험) 426
1) 방언 430
2) 예언 433
3. 종교의례적 측면 437
1. 예배 437
1) 찬양 441
2) 설교 443
3) 기도 444
2. 부흥회 446
3. 새벽기도회 453
4. 신유ㆍ축사의식 459
4. 교회문화적 측면 469
1. 교회구조 469
2. 기도원 문화 473
3. 목사관 480
4. 교회생활 484
1) 심방 484
2) 헌금 486
3) 성미 489
5. 무교적 신앙극복을 위한 제언 493
1. 성서적 ‘복’ 개념 정립 494
2. 올바른 성령운동 495
3. 윤리의식ㆍ역사의식의 회복 499
마무리말 503

참고문헌 507

비밀번호 인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확인

상품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상품이 찜 리스트에 담겼습니다.
바로 확인하시겠습니까?

저자 소개


지은이 이대근(李大根, 론지노) 신부는 충북 충주에서 출생하여, 1993년 가톨릭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 사제서품을 받았다. 대전 변동, 천안 봉명동, 당진에서 보좌신부로 봉직했으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한 후에, “조선후기 근기남인(近畿南人)의 서학(西學) 수용에 관한 연구 - 천주관(天主觀)을 중심으로”(2003)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대전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동양철학, 불교, 한국종교사상 등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는 대구가톨릭대학교에서 상담심리 전공으로 교육학석사 학위를 받았고(2004년), 현재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상담?영성지도를 담당하고 있으며, 상담가(심리치료자)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또 시인으로서 1998년 평화신문 신춘문예로 문단에 등단한 이후, 시집
 
TOP